변수
변수
변수란
-
변하는 데이터값을 저장할수 있는 메모리 공간(그릇)주고 받기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해주는 그릇변수에는 문자형,숫자형,논리형(true/false)를 저장 할 수 있다
-
특정 이름에 특정 값을 담을 때 사용
키워드 :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단어 식별자 :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하는 단어
선언 var ( variable )참고 : ie10 이상
let , const 사용let : 재할당가능 유효범위를 관리할수 있다
const : 재할당 불가
# 스코프 (Scope) 란? ( 유효성 범위 )
Scope란 말그대로 코드의 영역이라는 뜻지역 (local), 전역 (Global)로 나뉘어지고 JS 는 Function 단위로 scope 가 이루어짐Scope를 이해한다면 우리가 선언한 변수가 어디까지 참조가될 수 있고, 어디까지 살아있을 수 있는지를 파악 가능변수 또는 함수의 접근 가능한 범위를 의미함, 변수와 상수,매개변수가 언제 어디서 정의되는지 결정
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
- 문자형(String) , 숫자형(Number), 논리형(Boolean) , 빈(Null)
변수 선언규칙 ( 식별자 )
-
첫글자는 숫자사용불가, $, _, 영문자만 올 수 있다
-
영문자, 숫자, _, $ 혼용해서 사용가능
-
의미를 부여해서 지정한다
-
대소문자를 구분한다
-
한글 예악어 , 특수문자는 사용할수 없다 6. 의미에 맞는 영문으로 사용한다
단어를 조합할 때 규칙
- 스네이크 표기법(Snake case) : 소문자만 사용하고 각각의 사이를 언 더바(_)를 넣어서 color_top , cat_dog카멜 표기법(Camel case) : colorTop - 두번째 단어의 첫 글자를 대 문자로 사용 catDog
- 파스칼 표기법(Pascal case) : 카멜과 비슷하지만 첫글자도 대문자로 시작 CatDog
변수의 종류
지역변수: 특정 범위 안에서만 사용하는 변수 , 안에 한번만 선언할 수있다, 해당안에서만사용가능하다전역변수: 모든 영역에서 사용하는 변수 . 밖에 한번만 선언할수 있 다 , 모든 에 사용가능하다
매개변수(파라미터) : 함수 외부에서 함수 내부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변수멤버변수(프로퍼티) : 클래스 내부에 만들어지며 주로 객체에서 사용하는 변수
변수의 유형
데이터형과 기본형 : 값을 변수에 대입하는 방법 숫자(Number): 숫자에는 정수와 실수 문자열(String) : 문자열은 문자논리값(Boolean) : 논리값은 참과 거짓특수값(null) : 비어있다특수값(undefined) : 정의되지 않았다 (미지정) 자료형(typeof) : 변수에 저장된 자료형을 알아내기
참조형 : 참조값( 값을 실제로보관하고 있는 메모리)를 보관
- 배열(Array) : 데이터 집합객체(Object) : 데이터 + 함수 집합 - 함수(function) : 구문의 집합
추가 : 변수에는 숫자,문자열,함수,클래스,클래스의 인스턴스도 넣을수있다
리터널let num= 10=>num은변수이고 10은 숫자 리터널변수나 상수에 저장되는 값 자체를 말한다코드상에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숫자리터널 / 문자열 리터널 / 템플릿 리터널 / 배열리터널 / 객체리터널 /함수 리터널
1) 변수의 선언
1.변수의 선언:
var num1;
- 할당하기
num1 = 100;
console.log(num1);
=> num1 = 100;
-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 통합
var num2 = 200;
console.log(num2)
=> num2 = 200;
- var 생략하면 전역변수로 처리함
num3 = 300;
console.log(num3)
=> num3 = 300;
- num2 재할당
num2 = 300
console.log(num2)
=> num2 = 300;
- 동일한 변수 재선언 : 비추천
var num2 = 500;
console.log(num2);
=> num2 = 500;
- 특정 그릇에 특정값을 일시적(잠시 담아둠)
메모리 숫자,논리값,문자
형식
var 그릇1 = 밥;
var 그릇2 = 물;
var 컵 = 음료수;
컵을 가져오면 음료수를 먹을 수 있다
2) 변수의 선언 방법
(1) 선언과 동시에 값 할 당
var title = "신상 명세서";
var name = "홍길동";
var age = "26";
var addr = "서울시 서초구 서초동";
var tel = "010-0000-0000";
console.log(title);
console.log(name);
console.log(age);
console.log(addr);
console.log(tel);
결과
신상 명세서
홍길동
26
서울시 서초구 서초동
010-0000-0000
(2) 한번에 선언 하고 할당 (잘 안쓰임)
var title = "신상 명세서",
name = "홍길동",
age = "26",
addr = "서울시 서초구 서초동",
tel = "010-0000-0000";
console.log(title);
console.log(name);
console.log(age);
console.log(addr);
console.log(tel);
결과
신상 명세서
홍길동
26
서울시 서초구 서초동
010-0000-0000
(3) 초기값(할당 문자인지 숫자인지 처리 값) 설정 후 할당 => 가장 많이 쓰임
var title = "",
name = "",
age = "",
addr = "",
tel = "";
title = "신상 명세서";
name = "홍길동";
age = "26";
addr = "서울시 서초구 서초동";
tel = "010-0000-0000";
console.log(title);
console.log(name);
console.log(age);
console.log(addr);
console.log(tel);
결과
신상 명세서
홍길동
26
서울시 서초구 서초동
010-0000-0000